보물선 ‘신안’ 비화… 수중고고학 40년의 기록
한국의 보물선 타임 캡슐을 열다/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지음/공명/336쪽/2만 2000원
1976년 ‘세계 최대의 보물선’이라고 불리는 신안 보물선의 등장은 국내외를 떠들썩하게 했다. ‘신안선’이라고 명명된 이 선박은 700년 전 신안 앞바다에 가라앉은 중국의 거대한 중세 무역선이었다. 신안선 발굴에서는 엄청난 양의 도자기와 각종 무역품이 발견됐고 이것들은 당시 바닷길로 연결된 국제사회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 줬다.
신안선 발굴 40주년을 맞아 발간된 이 책은 우리나라 수중고고학의 탄생을 알린 중세 해양 실크로드선 신안선의 발굴부터 고려시대 최고 권력자에게 향하던 마도 3호선, 임진왜란의 역사를 간직한 진도 명량대첩으로까지 40년간 이어진 한국 보물선 발굴의 역사에 대해 수중고고학자들이 직접 밝히고 있다.
‘물속에서 이루어지는 고고학’인 수중고고학은 난파선과 해저 유적, 해저 유물을 발굴하고 복원해 옛사람들이 남긴 자취와 흔적의 의미를 다시 찾아내는 학문이다. 수중고고학을 통해 난파선 1척을 보존 처리하는 데는 15~30년 정도가 소요된다. 신안선은 보존 처리에 19년(1981~1999년), 복원에 11년(1994~2004년)이 걸렸다.
개흙이 발달한 우리나라 서·남해는 해저 유적과 난파선이 개흙 속에 묻혀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기 때문에 침몰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타임캡슐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 수중 문화재의 보물창고’로 불리는 마도 해역에서는 마도 1, 2, 3, 4호가 연달아 발견됐다. 지금까지 발굴된 난파선은 고려청자 보물선인 태안선, 최초로 발굴된 곡물 운반선인 마도 1호선, 매병을 싣고 있던 마도 2호선, 당대 최고의 권력자에게 향하던 마도 3호선을 비롯해 고려 선박, 조선시대 조운선인 마도 4호선을 포함해 총 14척이며 발견된 유물은 10만여점에 이르고 있다.
집필을 맡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수중발굴과 문환석 대표저자는 “고려시대 매병이 ‘준’(?)이라고 불렸으며 참기름, 꿀과 같은 귀한 식재료를 담는 용기였다는 것이나 지금은 한반도에서 사라진 사슴의 뿔을 배에 실어 개경으로 보냈다는 사실은 역사서에는 기록되지 않은 것으로 수중 발굴을 통해 밝혀졌다”면서 “태안선에서는 고려시대 최초의 목간이 발견돼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고 밝혔다. 책에는 2만 5000여점의 고려청자가 발견된 태안선 유물 발굴 현장을 비롯해 500여장의 수중 발굴 현장 사진 및 발굴 유물 사진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책 속 박물관’에는 배에서 나온 유물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고려청자와 신안 해저 유물 50여점 등을 볼 수 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 서울신문 2016.10.29
●여행자의 미술관(박준 지음)=여행자에겐 세계 구석구석이 전부 미술관. 아프리카 나미브사막의 주유소 등 '길 위의 미술관'을 소개한다. 어바웃어북, 1만6800원
- 조선일보 2016.10.29
대구미술관이 다음 달 4일 오전 10시 미술관 강당에서 인문학 콘퍼런스를 한다.
'인문학으로 찾는 대구 문화 유전자'라는 주제로 대구 미술운동이 갖는 인문학 의미를 살펴보는 자리다.
조세형 서울시립대 교수가 '문화와 경제, 그리고 스토리: 문화벨트론'이란 기조발표를 하는 것을 시작으로 '대구 문화사회 지도'(서우석 서울시립대 교수), '음악가들을 통해 추측하는 대구 특성'(김진호 안동대 교수) 발제가 이어진다.
오후에는 '대구미술 100년, 그 너머'(김영동 미술평론가), '대구문학을 통해 본 대구예술, 그 인문적 의미'(박덕규 단국대 교수)를 발표한다.
토론에는 이인숙 대구대 교수, 정유진 경북대 교수, 정현구 코리아네오심포니오케스트라 단장 등이 참여한다.
행사 공동 기획자인 조 교수는 "이번 학술대회는 근현대미술사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한 대구미술 현재 위상과 방향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참가 신청은 대구미술관 홈페이지(http://www.daeguart museum.org)를 통해 하면 선착순으로 접수한다.
문의 : ☎ 053-790-3063
-연합뉴스 2016.10.28
뚝섬에서 펼쳐지는 '2016 제1회 뚝섬 팝아트 페스티벌'
(재)광진문화재단은 오늘부터 31일까지 광진구 자양동 나루아트센터 광장 일대에서 ‘2016 제1회 뚝섬 팝아트 페스티벌’을 연다. 팝아트 페스티벌은 팝아트부터 회화, 일러스트, 록, 힙합, 재즈까지 다채로운 예술이 어우러진 문화예술 축제다.
이번 축제에는 100여 명의 아티스트가 길거리에서 펼치는 ‘스트리트 갤러리’를 비롯해, 예술가의 삶에 대한 이야기 ‘팝팝톡톡’ 강연, 팝아트 작가와 함께하는 ‘분필 바닥화 그리기 대회’ 등 새로운 퍼포먼스와 전시로 나루아트센터 일대가 풍성해진다. 자세한 내용은 (재)광진문화재단(02-2049-4700)으로 문의하면 된다.
- 한겨레신문 2016.10.28
페이스북트위터공유스크랩프린트크게 작게
◇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은 새달 1~5일 내년도 전기 석사과정(야간) 신입생을 모집한다. 모집학과는 신설되는 민화를 포함한 불교예술문화·문예창작·예술경영 등 6개 과이며 누리집(gsca.dongguk.edu)을 통해 원서를 접수한다.
◇ 문화재청은 최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0차 세계유산위원회 속개회의에서 한국이 제41차 세계유산위원회 부의장국으로 선출됐다고 밝혔다.
◇ 국립민속박물관은 지난해 세종시에서 민속조사를 진행하면서 촬영한 사진과 수집한 생활용품을 선보이는 전시를 12월19일까지 세종시 전동면 미곡1리 마을회관과 미곡2리 마을회관에서 각각 진행한다. 세종시청에서도 12월14일까지 민속조사 사진 30장을 전시한다.
- 한겨레신문 2016.10.28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