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은강 : 하늘을 보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김은강 개인전 '하늘을 보다'
2025. 08. 05 (화) ~ 2025. 08. 11 (월)





1. 전시 개요 

■ 전 시 명: 김은강 개인전 ‘하늘을 보다’展
■ 전시장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 7길 37 갤러리 도스 제2전시관(2F)
■ 전시기간: 2025. 08. 05 (화) ~ 2025. 08. 11 (월) 




2. 전시 서문

흔적이 빚어낸 시간의 풍경
갤러리 도스 김선재

 우리는 매일 시간을 살아내지만 그 흐름을 온전히 바라본 적은 드물다. 시계의 초침과 달력의 날짜는 단지 시간의 표면만을 보여줄 뿐이다. 그러나 우리가 실제로 겪는 시간의 질감은 훨씬 더 복잡하고 미묘하다. 기억 속에서 시간은 길게 늘어지기도 하고 순식간에 사라지기도 한다. 이 모든 것은 우리의 감각과 감정에 따라 다르게 기록된다. 이번 전시에서 하늘은 이러한 시간의 흐름을 담아내는 상징적 무대로 등장한다. 하늘은 늘 같은 자리에 있지만 한순간도 동일한 모습으로 머물지 않는다. 변화하는 구름의 결과 빛의 각도 그리고 바람의 흐름은 우리가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에도 시간의 켜를 차곡차곡 쌓아 올린다. 이처럼 하늘은 영원성과 순간성이라는 시간의 역설을 동시에 품고 있으며 관람자가 시간의 본질과 마주하도록 이끄는 매개체가 된다. 하늘은 우리로 하여금 무형의 감각을 마주하게 하고 그 속에서 다양한 시간의 층위를 직관적으로 체험하게 한다.

 김은강은 그동안 ‘Trace’ 시리즈를 통해 무심히 지나치는 순간 속에 남겨지는 기억과 흔적을 작품 속에 새겨 넣어왔다. 얇게 뽑은 흙 띠를 층층이 쌓아 올려 형태를 빚어내는 과정은 단순한 제작 행위가 아니다. 작가의 호흡과 손길이 만들어낸 시간의 퇴적 기록이다. 흙은 자연의 일부이자 과거의 기억을 품은 재료다. 작가는 이를 통해 시간을 쌓아올린다. 매끈하게 다듬지 않은 표면의 결은 시간의 결이자 손길의 흔적이다. 이러한 조형물은 시간이 응집되어 남겨진 기억의 덩어리로 관람자 앞에 놓인다. 그 결과 시간의 흐름은 결코 직선적이지 않으며 겹겹이 쌓이고 뒤엉키는 다층적 구조임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이러한 상징과 사유는 회화 작업으로도 이어진다.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친근한 동물의 형상은 우리의 시선을 가장 먼저 사로잡는다. 사실적 재현에서 벗어나 상징적이고 단순화된 실루엣으로 표현된다는 점은 그 자체가 존재의 은유임을 보여준다. 부드러운 곡선과 뿔의 형상이 어우러져 자연과 상상의 경계를 허무는 환영처럼 다가온다. 그 배경에는 넓고 투명하게 하늘이 펼쳐진다. 흰 구름이 흘러가고 푸른 빛이 깊이를 더하는 화면 위로 붉은 점과 기호들이 흩뿌려져 있다. 말의 몸체 위로 흐르는 붉은 점들은 마치 시간과 감정이 남긴 발자국처럼 보인다. 이는 단순한 장식요소가 아닌 흐르는 시간을 하나하나 짚어내는 표시 같기도 하고 과거 어느 한순간이 남긴 감정의 맥동 같기도 하다.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 듯 보이지만 그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흐름이 있다. 작가는 우연과 필연 사이를 오가며 우리에게 묘한 심리적 울림을 전달한다.

 작가는 자연을 재현하거나 풍경을 묘사하는 것에 머물지 않는다. 시간과 기억과 감정이 교차하는 지점을 시각적으로 압축하려는 시도를 통해 관람자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에 남아 있는 시간의 흔적을 되돌아보게 한다. 흙이라는 물질적 재료와 동물이라는 상징적 존재 그리고 이번 신작으로 새롭게 선보이는 하늘이라는 비물질적 공간과 붉은 점이라는 시각 언어는 서로 대화하듯 얽혀 조형과 회화가 만나는 지점을 열어 보인다. 동물의 형상은 마치 상상의 세계로 들어가는 열쇠처럼 자기 내면 속 기억과 시간을 탐색하게 만드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 속에서 평소 인식하지 못하는 시간의 층위와 흐름을 물질로 본다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단순히 시각적 아름다움을 넘어 시간의 본질에 대한 질문과 사유의 여백을 마주하게 된다. 이번 전시는 하늘을 올려다보며 잊고 있던 시간을 다시 호흡하는 순간을 선사한다.












Trace2505_하늘을 보다
mixed clay, 40×20×53cm, 2025












Trace2409_2505_하늘을 보다
mixed clay, 35×25×28cm, 40×20×53cm, 2025












Trace2507f_새들의 지저귐
porcelain, 22×30×5cm, 40×20×53cm, 2025












Trace2404_낯선 시간
acrylic on canvas, 100×80.3cm, 2024












Trace2407_하늘을 보다
acrylic on canvas, 90.9×72.7cm, 2024












Trace2408_미묘한 차이
acrylic on canvas, 90.9×65.1cm, 2024








3. 작가 노트

하늘을 보다

“힘들면 하늘을 봐.”  아버지께서 이렇게 말씀하신 건 의외였다. 분명 소소한 일상의 행복을 의미하신 건 아니었을 것이다. 지금은 아버지가 그리울 때 하늘을 본다. 거의 매일 보는 것 같다. 날마다 비슷한 곳을 오가니 같은 풍경위의 하늘을 올려다 보는데 하늘의 모습은 단 한번도 같지 않다. 빠르게 오가는 사람들의 움직임에 비하면 구름은 지루하게 정지해 있는 것 같지만 잠시라도 한눈을 팔면 어느새 다른 모습으로 변해 있다. 저 넓은 공간에선 시간이 다른 순서로 흐르는 것이 아닐까? 

<하늘을 보다>는 기억과 흔적을 통해 시간의 흐름을 가시화 하는 ‘Trace’ 프로젝트의 네 번째 전시이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가장 강하게 우리의 의식을 지배하는 시간을 어떻게 가시화 할 수 있을까? 로만 오팔카(Roman Opalka)는 평생에 걸친 프로젝트 ‘1965/1-∞' 에서 1부터 무한대로 숫자를 써 나가며 시간을 정의하고 기록하였다. 후반으로 갈수록 희미해지는 그의 캔버스는 시간과 존재의 사라짐을 상징한다. 그러나 이것을 역으로 추적하면 기억과 흔적을 통해 시간을 가시화 할 수 있지 않을까? 시간이 지나면 기억은 흐릿해 지기 마련이지만 경이롭게도 기억을 되살리는 과정에 상상력이 동원되고 서로 다른 시간대가 겹치게 된다. 기억에 기반을 둔 설치는 현실적 영역과 상상의영역을 오가며 묘사된 동물 조각을 보여준다. 조각의 친근한 형태는 관람객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대화 또는 명상을 유도한다. 전시는 언제나 열린 결말을 향해 여러 갈래로 펼쳐지는 이야기처럼 전개된다. 조형 작업을 할 때 나는 흙 띠를 말아 올려 형태를 구현해 나가는데 이때 층층이 겹친 자연스런 흔적이 시간의 겹이 되어 가시화 된다. 작가의 역할은 물성과 시간의 작용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이번 전시<하늘을 보다>에서 새롭게 시도하는 매체적 실험은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나드는 설치이다. 이전 도자조형 작업에서도 벽작업과 입체가 조응 하도록 공간을 배치한 바 있는데 이번에는 회화를 통해 좀더 적극적인 서사를 더한다. 비교적 사실적으로 묘사된 배경 위에 상상의 시작을 알리듯 평면적 실루엣의 동물형태가 등장한다. 이들은 잠시 낯선 세상을 탐험하는듯 하지만 이내 하늘위로 시선을 옮긴다. 회화와 조각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붉은 점은 착시와 함께 심리적 착각을 불러 일으킨다. 경쾌한 리듬이 연상 되기도 하고 발갛게 부어 오른 상처가 연상 되기도 하며 다양한 감정을 소환한다. 
 
‘Trace’ 작업의 여정에서 시간의 흐름은 단일하지 않으며 기억은 사라지는 것으로 정의 되지 않는다. 서로 다른 매체가 연결된 공간설치는 겹쳐진 시간대에 대한 은유이다. 이는 시간의 단단한 경계를 허물고 과거로부터 미래를 자유롭게 유영하며 그리움과 상실의 무게를 덜어내고자 하는 노력이다. 






4. 작가 약력

김은강│KIM, EUN KANG
Email: arstastudio7@gmail.com│Instagram: @arsta_studio  
       
1999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자예술학과 대학원 졸업
1997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도자예술학과 졸업

개인전
2025 하늘을 보다, 갤러리 도스, 서울
2023 김은강 초대전 (나무그늘의시간), 가온갤러리, 서울
2022 나무 그늘의 시간, 갤러리 아미디, 서울
2020 시간의 흔적_Trace of the Hours, 갤러리 도스, 서울 
2017 Trace, 갤러리 도스, 서울
1999 김은강 도예전, 갤러리 서호, 서울

주요 단체전
2025 적시, 이화아트센터, 서울
2024 Edition Limitee, 이화아트센터, 서울 
2023 Dream, 갤러리초이, 서울
2023 ARDOR, KCDF 갤러리 2,3전시장, 서울
2021 Connect, 아트레온 갤러리, 서울
2018 세라믹 컨버전스2018,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7전시실, 서울
2017 The 9thSHA-SHA전, 갤러리 이앙, 서울
2014 세라믹 컨버전스,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제 7전시실, 서울
2013 Marin County Fair 2013, Marin County, CA, USA
2013 The Potter’s Studio Spring Show 2013, The Potter’s Studio, Berkeley CA, USA
2012 East Bay Open Studios 2012, Pro Arts Gallery, Oakland CA, USA
1999 21C 한국 정예작가 초대전, 서울 시립미술관

수상
2013 Marin County Fair 2013, Special Award 3-Dimensional, Marin Society of Artists, USA
1999 ’99 청주 국제공예비엔날레 특선,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
1999 제19회 서울 현대도예공모전 특선, 대한매일신보사
1999 ’99 국제 크라프트전-Itami- 입선, Japan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