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회 청람회전=22일까지 청주문화관 1·2전시실. 문의=☏010-3426-2471.
◇대형 라이브 뮤지컬 리틀 라이온=23일
오전 10시 20분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문의=☏010-3633-7857.
◇청주YWCA합창단 정기공연=23일 오후 7시 30분
청주아트홀. 문의=☏043-265-3701.
◇8회 불교미술인전 '산사에서 대중속으로'=24~29일 청주예술의전당 소2전시실. 문의=☏010-5994-1388.
◇3회 종교화합 무심음악제=25일 오후 7시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문의=☏043-294-5114.
◇충북챔버오케스트라 7회 정기연주회=25일 오후 7시 30분 청주아트홀. 문의=☏010-5459-9357.
◇10회 청주전국무용경연대회=26일 오전 11시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문의=☏043-224-8995.
◇어린이 베스트셀러 뮤지컬 '책 먹는 여우'=28일 오후 1시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문의=☏01688-5419.
◇보릿고개로부터=28일까지 청주 스페이스 몸 미술관. 문의=☏043-236-6622.
◇청주시립무용단
브런치 콘서트 '여유, 그 설레임'=29일 오전 11시 청주예술의전당 소공연장. 문의=043-201-0963.
◇2015년도 신인작가
지원전 '잠재적 표상'=6월 13일까지 신미술관. 문의=☏043-264-5545.
-충청일보 2015.4.21
바퀴달린그림책 부산센터는 21일부터 30일까지 롯데백화점 광복점 8층 문화홀에서 '어린 작가 초대전'을 연다.
어린이들이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써 만든 그림책을 전시하는 행사. 세상을 바라보는 아이들의 섬세하고 따뜻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빛그림 공연(토요일 낮 12시부터 한 시간 간격으로 6회·일요일 오후 1시부터 5회 상영), 동화작가 강연(일요일 낮 12시), 똥파리 그리기와 포토존 체험 행사도 함께 마련된다.
-부산일보 2015.4.20
한국사립미술관협회는 어린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거꾸로 보는 미술관’을 12월까지 연중 진행한다.
지루한 강의식 수업을 대신해 작가 스튜디오에서 미술작품에 대해 ‘정답없는’ 토론을 벌이는 소규모 대화식 미술감상 프로그램으로 협회 소속 21개 사립미술관과 지역 내에서 연계된 작가 스튜디오에서 매주 토요일마다 실시한다. 도에서는 가일미술관, 블루메미술관, 서호미술관, 영은미술관이 참여한다.
- 경인일보 2015.4.22
서용선 ‘도시’ 연작 초대전
서용선 용선 작가가 1980년대 중반부터 천착한 ‘도시’ 연작을 오는 5월 17일까지 대거 선보인다. 평면, 입체, 드로잉 등 총 100여 점을 소개하는 전시는 ‘서용선의 도시 그리기:유토피즘과 그 현실 사이’를 주제로, 금호미술관 전관과 학고재갤러리 본관 두 군데로 나뉘어 펼쳐진다. 2009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 2014년 제26회 이중섭미술상 수상작가로 선정된 서용선은 한국을 대표하는 중견작가다. 그의 작업은 치밀하게 짜인 화면 구조와 거친 붓터치, 강렬한 원색, 그리고 붉은색의 인물로 대변된다.
회화와 조각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작가의 눈으로 바라본 베를린, 뉴욕, 서울, 베이징(北京), 멜버른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도시인들의 모습을 묘사한다.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 등에서 어딘가로 향하고 있는 무표정한 붉은 얼굴들은 현대인의 억눌린 내면 심리와 삶의 무게를 공감케 한다. 02-720-5114
강제윤 ‘섬나라, 한국’ 전
서울 관훈동에 자리한 갤러리 나우는 오는 22일부터 28일까지 강제윤 작가의 개인전 ‘섬나라, 한국’을 연다. 시인이자 사진작가인 강제윤은 ‘문화적 기록’에 집중해 10년 동안 전국 350여 개 섬을 방문, 사진과 글로 이른바 섬 ‘택리지’를 써내려갔다. 섬 안에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하는 것’의 일상을 포착한 것이다. 통영 욕지도, 제주 추자도, 여수 사도, 신안 암태도 등 사진 속에 담긴 크고 작은 섬들은 전시 공간을 통해 연결되며, 결국 ‘삶’이라는 거대한 뭍을 이룬다. 02-725-2930
유민환 기자
-문화일보 2015.04.21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