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는 11일 전주시예술상심사위원회를 개최해 제24회 전주시 예술상 8개 부문 수상자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올해로 24회째를 맞이하는 ‘전주시 예술상’은 지역 예술인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창작활동을 지원함으로써 문화예술도시 전주의 위상을 높이고자 공정이 뛰어난 예술인에게 시상하고 있다.
올해의 수상자는 △문학 선대규(63· 필명 선산곡, 수필가) △음악 이형로(48·음악인) △국악 전태준(69·전라삼현육각 보존회장) △무용 한유선(40·미리암스발레단 대표) △미술 임동주(74·화가) △사진 김도영(66·사진작가) △연극 정초왕(58·교수/연출가) △건축 이성엽(55·건축사)씨 등이다. 영화와 연예부문은 추천자가 없어 수상자가 선정되지 않았다.
전주시 예술상 시상식은 오는 23일 리베라호텔에서 개최하는 전주시 예술인의 밤 행사때 열린다.
- 전북일보 윤나네 기자 2013.12.13
17일, 하버파크 호텔서 시상식
인천예총이 '제22회 인천예총 예술상' 수상자로 이종목(사진), 박문전(음악), 서주선(미술), 이치옥(국악), 박성균(영화) 등 5명을 선정했다.
또 '공로상'에는 구칠성(연예), 유인채(문인), 전옥분 (미추홀문화회관), 고동희(연극), 강혜은(무용), 박석광(문화회관), 차민선(국악회관)이 각각 선정됐다.
인천예총(회장 김재열)은 '지난 11월22일 선정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인천 문화예술 진흥과 발전을 위해 혼신을 다 한 지역예술인들을 예술상 수상자로 선정했다'며 '수상자들은 각 분야에서 열정적 예술의 혼을 불사르며, 치열한 자기와의 싸움을 극복한 분들'이라고 12일 밝혔다.
시상식은 오는 17일 오후 5시 인천하버파크 호텔에서 개최된다. 이날 시상식에선 인천시장표창과 인천시의장표창 수여도 함께 진행된다.
'제22회 인천예총 예술상 시상식'에 서는 인천예술인들이 화합과 친목을 다지는 '인천예총인의 밤'이 함께 진행되며, 인천예총 200여명의 회원과 지역문화예술관계자들이 함께할 예정이다.
김재열 회장은 '인천예술의 발전을 염원하는 화합과 소통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예총은 70년의 역사를 가진 인천시 문화예술계 역사의 산증인으로 산하 9개의 협회를 거느리고 있다.
- 인천일보 김진국 기자 2013.12.14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서울 중구 남대문로 숭례문 기둥 일부에 러시아산 소나무가 쓰였는지를 내사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국산 금강송을 썼다면 현재 복원된 숭례문의 일부 기둥처럼 갈라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제보가 있어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숭례문 시공사와 문화재청으로부터 복원 공사에 쓰인 자재의 반입 반출과 관련된 자료를 넘겨받아 분석하고 있다. 다만 ‘숭례문에 러시아산 소나무 3, 4개가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 동아일보 2013.12.14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오는 16일 오후 3시 문화역서울284(구 서울역사) 2층 컨퍼런스룸에서 '디자인 아카이브 구축 및 국립디자인박물관 건립을 위한 정책포럼'을 연다.
이번 포럼은 세종시 국립박물관단지 조성사업 추진과 함께 국립디자인박물관을 건립하여, 디자인 자료의 아카이빙을 통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재생산할 수 있는 국가 디자인정책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마련됐다.
- 아주경제 2013.12.13
국립중앙박물관은 정부의 3.0 대국민 정보공개 확산계획에 따라 박물관 소장 고화질 유물 이미지 7300여 점, 외규장각 의궤 122책 4만여 쪽,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생산한 문서철 176권 6만여 쪽을 내년 1월부터 전면 공개한다고 12일 밝혔다.
‘국장도감 의궤’ 등 고화질 유물 이미지는 최대 1500만 화소급으로 공공데이터 활용을 통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준비했다. 박물관은 출판·문화상품·디자인업계 등 관련 업계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상업적 이용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한 없는 이미지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 기존 오프라인 유물 사진 복제서비스의 시간 및 경제적 비용을 대폭 절감하게 됐다. 외국인을 위한 영문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들 자료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대부분 처음 공개하는 것으로, 유물 이미지를 공짜로 상업적 이용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은 외국 박물관에서도 유례가 없다.
- 국민일보 2013.12.13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