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 서브메뉴
  • 본문바로가기
  • 하단

로고

유틸정보

  • 로그인
  • 회원가입

메뉴 목록

  • 뉴스
    • 언론
    • 동정
    • 학술/행사
    • 공모
    • 강좌
    • 외국소식
    • 문화소사
  • 전시
    • 전시 일정
    • 오늘 전시
    • 외국 전시
    • 전시 평론
    • 화제의 전시
  • 컬럼
    • 연재칼럼
    • 지난칼럼
    • 외부칼럼
  • 도서
    • 단행본
    • 연속간행물
    • 도서자료검색
  • 색인
    • 전시공간
    • 인명사전
    • 협회 · 단체
    • 웹사이트
    • 외국색인
  • 서비스
    • 서울아트가이드
    • 온라인홍보
    • DM스티커
  • 커뮤니티
    • 알림
    • 연구소Blog
    • 패널리뷰
    • 홍보
    • 게시판
  • 김달진미술연구소
    • 연구소소개
    • 연구소언론보도
    • 연구소 연혁
    • 사업소개
    • 축하메시지
    • 오시는길
    • 김달진 소장은

뉴스

  • 언론
  • 동정
  • 학술.행사
  • 공모
  • 강좌
  • 외국소식
  • 문화소사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7 건
게시판 내 검색

[2012.12.28]카사 델 아구아 문화연대, 28일 시민문화제 개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 문화연대·주한 멕시코 모임은 28일 오후 5시 제주시청 벤처마루 광장에서 제3회 카사 델 아구아 살리기 시민문화제를 개최한다.

 

이날 문화제에는 이종혁 재즈밴드와 코어 매거진, 갤럭시 익스프레스, 사우스카니발 등 서울과 제주지역 재즈밴드와 인디밴드들이 출연해 공연을 펼치며 거리의 시민들에게 카사 델 아구아를 지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앞서 오전 10시부터는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내 카사 델 아구아 건축문화기행이 이뤄지며, 오후 3시 벤처마루 10층 세미나실에서는 카사 델 아구아 보전 해법을 모색하는 세미나도 마련된다.  문의 제주도의회 이선화의원실 741-1977.

 

-제주일보 2012.12.28

[2012.12.28]도지정문화재 6건 신규 지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도가 도지정문화재 6건을 신규 지정했다. 도는 지난 26일 도문화재위원회 동산문화재분과 회의를 개최하고 △강릉 보현사 소조 아미타삼존불좌상과 복장유물 △영월 만봉불화박물관 소장 시왕도 초본과 사자도 초본 △보현사 소조보살좌상 △양양기구회첩 △강릉 오죽헌박물관 소장 임영족회첩 △미타계첩을 도지정문화재로 지정하기로 의결했다.
 

- 강원일보 2012.12.28

 

[2012.12.28]‘거시기, 머시기’ 내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주제 확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내년 제 5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거시기 머시기’라는 주제로 9월 6일부터 11월 3일까지 비에날레 전시관 등 시내 일원에서 열린다. 이영혜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은 27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디자인비엔날레 전시 주제를 ‘거시기, 머시기’(以心傳心·Anything, Something)로 확정하는 한편, 9개 전시관 운영 등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이 총감독은 “‘거시기, 머시기’는 ‘것이기, 멋이기’로 읽힐 수 있다”면서 “모호한 듯하지만 ‘서로 통한다’는 정서를 자극, 더 나은 미래를 작업하는 디자이너에게 적절한 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광주일보 2012.12.28

 

[2012.12.27]조선왕릉 ‘숭릉·강릉·사릉’ 개방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그동안 가볼 수 없었던 조선시대 왕릉 일부가 공개된다. 문화재청은 내년 1월1일부터 경기도 구리 동구릉 경내에 있는 조선 18대왕 현종(1641∼1674)과 그의 비 명성왕후(1642~1683)의 합장릉인 숭릉을 비롯해, 서울 공릉동에 있는 13대왕 명종(1534~1567)의 강릉,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6대왕 단종(1441~1457)의 비 정순왕후(1440~1521)의 사릉(사진)을 개방한다고 26일 밝혔다.

숭릉은 동구릉 아홉 왕릉 가운데 하나로, 조선왕릉 가운데 유일한 팔작지붕 얼개의 정자각이 있다. 사릉은 세조의 왕위 찬탈로 숨진 남편 단종과 생이별한 정순왕후의 기구한 삶을 떠올릴 수 있는 곳이다. 관람시간은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30분(겨울), 오후 6시30분(여름)까지다. (02)739-7829.  

 

-한겨레 2012.12.27 

[2012.12.26]우이동서 고려말~조선초 가마터 또 발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강북구 일대가 고려 말에서 조선 초 무렵 도자기 생산이 활발한 지역이었음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올해 9월부터 우이동 산 21-1, 21-2번지 일대에서 실시한 ‘우이동 청자요지 가마터 유적 발굴조사’결과, 이곳에서 15세기 초로 추정되는 가마 1기를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역사박물관 유적조사과 주관으로 실시된 이번 발굴에서는 도자기를 생산하는 가마 1기와 함께 불량 도자기를 버리는 폐기장 1기, 도자기 파편들이 대량으로 발굴됐다. 


가마터 발굴 결과 가마의 구조는 요전부, 아궁이, 소성실, 연도부로 구성된 무계단식 단실요로 확인됐다. 가마의 규모는 전체 길이 21.1m, 폭 1.4~2.2m, 경사도는 14도가량으로 밝혀졌다.


가마 및 폐기장에서 출토된 유물인 발, 접시 등은 이번 발굴지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수유동 청자요지에서 지난해 출토된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의 유물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산 일대에 가마터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부터로, 북한산에서 가마터들의 정확한 위치와 현황이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였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2003~2004년도에 서울시 문화유적 종합지표조사를 통해 우이동과 수유동 일대를 조사한 결과, 여말~선초 상감청자 가마터 8곳의 위치를 확인했다. 이후 2009년 강북구 가마터에 대한 정밀 지표조사를 통해 기와가마 1기를 포함해 20여기의 가마터가 북한산 일대에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고, 지난해엔 수유동 3호 청자요지에 대한 발굴을 실시한 바 있다. 


- 헤럴드경제 2012.12.26

이전[이전 10개]
  • [1331]
  • [1332]
  • [1333]
  • [1334]
  • [1335]
  • [1336]
  • [1337]
  • [1338]
  • [1339]
  •   [1340]
[다음 10개]다음

하단 정보

FAMILY SITE

  •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 박물관후원회
  • 한국미술정보센터
  • 달진북닷컴
  • 연구소 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용약관
  • 사업제휴문의
  • 이메일수집거부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