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전설적 재즈 사진작가 허먼 레너드 별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전설적인 재즈 사진작가 허먼 레너드가 지난 14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87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고 그의 대변인이 밝혔다.

192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에서 루마니아 이민 2세로 태어난 레너드는 1948년 뉴욕에 스튜디오를 열면서 본격적인 사진작가의 길을 걸었다. 그는 유명 재즈클럽을 돌아다니며 재즈 연주자들의 모습에 매료됐고 찰리 파커, 디지 길레스피, 빌리 홀리데이, 듀크 엘링턴, 마일스 데이비스 등의 사진을 몽환적인 흑백사진으로 담아 유명세를 탔다. 1956년에는 당대 명배우 말런 브랜도의 개인 사진작가로 뽑혀 많은 작품을 남겼다. 1980년대 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했던 레너드는 1990년대 이후 뉴올리언스에 정착, 뮤지션 사진 촬영에 매진했다.

-문화일보, 2010.8.18

[브리핑] 국립중앙박물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중앙박물관이 제3기 ‘창조적 경영 지도자 최고위 과정’을 9월 1일부터 12월 22일까지 매주 수요일 운영한다. 정양모(전 국립중앙박물관장)·안휘준(전 서울대학교수)·유홍준(전 문화재청장)·최완수(간송미술관 학예실장)씨 등이 한국 미술사를 강의한다. 갤러리 토크, 안동하회마을 답사 등도 진행된다. 접수 마감은 13일. 02-2077-9358.

-중앙일보 2010.8.18

서양화가 송호준 개인전, 강렬해서 더 풍요로운 자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부산에서 주로 활동하는 작가 송호준(49)의 작품세계는 여름 해운대 바다를 연상시킨다. 단순ㆍ소박하면서도 강렬한 원색을 바탕으로 자연을 화폭에 담는다.

부산 피카소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그의 개인전에도 그런 작품들이 선보인다. 작가는 여행길에서 만난 장면을 예술적 감성으로 재해석했다. 그 결과물이 간결한 형태로 재구성한 자연의 풍경이다.

전시에 출품되는 `영도의 기억` `동백`` 여름밤의 꿈` 등은 작가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작품이다. 산, 들판, 태양 등 다양한 모습의 풍요로움은 작가가 보여주는 자연의 본질이다.

"지구의 주인은 자연입니다. 풍요로운 자연은 현재뿐 아니라 미래 세대에도 나눠줘야 할 유산입니다." 색은 풍요로운 자연을 상징한다. 화면 안의 공간은 색으로 구분된다. 이런 독특한 구성은 자연의 빛을 작가의 시적 감각으로 표현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오래도록 그림을 응시하며 사색하게 만든다.

송호준은 부산 동아대 회화과와 동 교육대학원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건축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이 때문에 회화뿐 아니라 건축적 요소가 가미된 설치미술 작업도 선보인다. 전시는 25일까지 이어진다.

-매일경제 2010.8.18

박재동 화백, OBS 토크쇼 진행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시사만화가 박재동(사진) 화백이 <오비에스(OBS) 경인TV>의 토크 프로그램 <명불허전>(名不虛傳)의 진행자로 나선다.
박 화백은 오는 20일 밤 10시5분 방송부터 전임자인 탤런트 정한용씨에 이어 이 프로의 진행을 맡는다고 오비에스가 17일 발표했다.

1988년 <한겨레> 창간 때에서 8년 가까이 ‘한겨레 그림판’을 연재한 박 화백은 한 컷의 그림에 시대를 담아내는 날카로운 만평으로 인기를 모았으며 현재는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도 맡고 있다.

‘숲속의 그림창고’라는 부제를 내걸고 진행할 박 화백은 “부드럽고도 날카로운 진행으로 시청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만인들이 즐길 토크쇼를 만들어가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그가 맞는 첫 출연자는 산악인 엄홍길 대장으로, 그는 에베레스트를 시작으로 해발 8000m급 고봉 16좌를 완등하기까지의 고난과 역경을 들려주며 산 사나이로 살아가는 행복을 소개한다.

-한겨레 2010.8.18

임돈희 동국대 석좌교수, 아이티 문화유산 보호 국제전문가에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임돈희 동국대 석좌교수가 아시아 지역에서 유일하게 유네스코 아이티 문화유산 보호 국제전문가로 위촉됐다고 동국대가 17일 밝혔다.

유네스코는 지난 1월 발생한 대지진으로 아이티 문화유산을 긴급 보호할 것을 결의하고 최근 국제전문가 10명을 대책위원으로 위촉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국제심사위원, 한국민속학회장 등을 지낸 임 교수는 그동안 국제화시대의 로컬 민속과 민속학,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문제 등을 연구해왔다.

-서울경제 2010.8.1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