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근대미술 기틀 세운 ‘김복진 다시보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일제 강점기 한국 근대미술의 토대를 이룬 김복진(1901~40). 대표작 ‘소년’을 포함해 일반적인 인물초상부터 기념조형물과 불상까지 폭넓은 형식의 작품을 섭렵한 작가이자 미술비평가, 문예운동가, 사회주의 조직운동가로서 조소예술 세계의 지평을 넓힌 그의 생애와 작품을 집대성한 책이 나왔다. 미술평론가인 윤범모 경원대 교수가 출간한 <김복진 연구-일제 강점하 조소예술과 문예운동>(동국대학교출판부)이다. 김복진은 1940년 5월 제19회 조선미전에 조소작품 ‘소년’을 출품해 조선총독상을 받고 ‘추천작가’ 칭호를 얻었지만 3개월도 지나지 않아 만 39세의 나이에 요절했다.

30여년간 김복진의 작품 발굴과 연구에 천착해온 윤 교수는 “그는 미술가·비평가·문화운동가로 불교철학부터 사회주의사상까지 폭넓고 깊이 있는 예술세계와 인생관을 갖고 있었던, 20세기를 대표할 만한 실천하는 지식인”이라며 “앞으로 그만큼 거대한 담론을 제공할 인물을 만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에서 중심 역할을 한 김복진의 활동을 그는 강조하고 있다. 윤 교수는 “그동안 KAPF 활동은 문학계가 중심이 돼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지만 김복진이 동생 김기진, 박영희 등과 함께 KAPF를 주도적으로 결성하는 등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한국 근대미술의 기틀을 이뤘으나 작가의 요절과 직계가족의 단절, 일제말 공출과 한국전쟁으로 인한 작품 소실, 사회주의 활동 경력과 제자들의 월북으로 작가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윤 교수는 “일반인들에게도 김복진 선생과 같은 선구자가 있었다는 사실이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만5000원

-경향 2010.7.20

인사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일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 <부이사관 승진> ▶인사과장 김상욱 ▶문화예술교육과장 김현모

◆문화일보▶편집국 문화부장 직대 정충신

중앙일보, 2010.07.20

중앙일보 특종 ‘… 김정남입니다’ 이달의 보도사진상 최우수상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사진기자협회(회장 손용석)는 19일 중앙일보·중앙 SUNDAY 신인섭 기자의 ‘안녕하세요 김정남입니다’(사진)를 제90회 이달의 보도사진상 시사스토리 부문 최우수상으로 선정했다. 스팟뉴스 부문 최우수상은 중부일보 최영호 기자의 ‘화염속으로’가 받았다. 이 밖의 부문별 최우수상은 다음과 같다.

▶스포츠=‘하늘도 울고 나도 울고’(연합뉴스 배재만)▶네이처=‘옆 둥지 새끼 물어 죽이는 백로의 빗나간 모정’(경기일보 김시범)▶아트&엔터테인먼트=‘태극전사에 쏠린 눈’(대전일보 빈운용)

중앙일보, 2010.07.20

‘세계대백제전’ 총감독에 김명곤 전 장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김명곤 전 문화관광부 장관이 오는 9∼10월 충남 공주와 부여, 논산에서 열리는 ‘2010 세계대백제전’ 개·폐막식의 총감독으로 19일 선임됐다. 김 전 장관은 1986년 영화 <바보선언>으로 배우의 길에 입문, 93년 <서편제>로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국립중앙극장장과 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냈으며,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다.

-경향 2010.7.20

기업 문화접대비 3년새 11배 늘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007년에 도입한 문화접대비 제도로 인해 기업 문화접대비가 3년 새 1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문화접대비 제도 도입 3주년을 맞이해 100개 기업의 회계장부를 분석하고 접대비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기업당 평균 문화접대비 비중은 2006년 0.05%에서 0.57%로 3년 새 11배가 증가해 점차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접대비 제도란 문화접대비가 총접대비의 3%를 초과할 경우 세제 혜택을 주는 제도로 문화예술서비스산업 육성과 건전한 접대 문화 조성을 위해 2007년 도입됐다.

-매일경제 2010.7.2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